6월 23일
평면 도면Flat Design과 계층구조 도면Hierarchical Design을 그려봤다.
또한, 회로 설계에서 PCB 설계로 넘어가기 위한 부분들을 확인했다.
-----
평면도면은 따로 그리지 않고 어제 그렸던 단일 도면에서 일부분을 떼어냈다.
프로젝트 관리자 창에서 schematic1을 우클릭하여 페이지를 추가해서 붙여넣었다.
끊어진 부분을 off-page connector를 이용해 연결하면 일종의 평면 도면이 된다.
왼쪽 아래 >> 표시가 off-page connector 표시이다. 아이콘 혹은 place > off-page connector를 통해 사용가능하다.
계층구조 도면은 다소 복잡한 구조의 회로도를 그 쓰임새에 따라 분류해 그려 해석하기 쉽도록 그린 것이다.
계층 구조 도면은 이러한데 초록색 블럭이 평면 도면과의 차이점이다. place > hierarchical block을 통해 그릴 수 있다.
블럭을 선택한 채로 place > hierarchical pin을 선택하면 핀을 추가할 수 있다. 신호의 방향에 따라 input, output, bidirectional을 선택했다. 이 옵션에 따라 핀 아이콘의 모양이 달라진다.
width는 와이어로 핀이 연결되느냐 버스로 연결되느냐에 따라 구분되다.
블록을 생성할 때 속성을 primitive가 아니라고 하면 블록 내부에 회로를 그릴 수 있다. 아래는 왼쪽 블럭 MC8031을 더블클릭해 페이지를 생성하고 회로를 그린 것이다.
내부 블럭에서 각 블럭의 pin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.
이 과정에서 실수했던 부분인데 pin 설정이 다 끝나기 전에 블럭으로 들어가 page를 생성하면 이후에 pin을 추가해도 page 내부에서는 변화가 없었다. 이런 경우 프로젝트관리자에서 '각 블럭의 page'를 따로 제거한 뒤 pin을 다 추가하고 page를 다시 만들어야 한다.
-----
OrCAD에서 제공된 부품 외에 새로 부품을 작성하는 법도 배웠는데, 프로젝트 관리자 창에서 Library를 우클릭해 new part를 통하면 된다.
이렇게 그린 부품들은 지정된 경로에 .olb 확장자로 저장되는데 이를 불러오면 place > part로 그린 부품을 추가할 수도 있다.
----
회로 설계에서 pcb 설계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네트리스트netlist를 만들어야 한다.
Edit > Object propterties를 눌러서 각 부품의 footprint를 기입한다. 회로 설계에서 logic sybol로 있던 부품들의 크기와 사양들을 입력하는 것이다. 예를 들어 80C31 부품의 footpirnt는 DIP40_6이었는데 이는 이 부품이 Dual Inline Package 형태이고 pin의 개수는 40 그리고 양 핀 사이의 거리는 600 mils라는 의미이다.
footprint 입력이 끝나면 annotate를 하는데 "reset part references to ?"로 진행한 뒤 "incrumental reference update"를 진행하면 된다.
설계 과정에서 부품이 과잉으로 추가됐다가 지우면 레퍼런스에 부여된 숫자와 부품의 개수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. 저항의 개수는 2개인데 R3 이상이 될 수 있다는 거다. 이때 annotate를 진행하지 않고 설계도를 보면 저항 개수에 대한 혼동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이 과정을 진행해야 한다.
마지막으로 설계규칙검사Design Rules Check를 진행해 오류가 없음을 확인하면 준비가 끝난다.
Tools > Create Netlist를 선택하면 된다. 선택한 옵션으로는 Create PCB Editor Netlist와 Create or Update PCB Editor Board (Netrev)였고, 나머지 값은 디폴트로 진행했다.
Tools에서 BOM(Bill of Materials)와 교차 참조Cross Refernce를 작성할 수 있는데 이는 pcb 설계로 넘어가기 위해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 부분은 아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