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월 22일
OrCAD의 설계 환경을 설정한 뒤, 주어진 설계도를 똑같이 그려봤다.
OrCAD의 UI를 한 번 둘러 보고, Options에서 기본적으로 디폴트 값을 유지하는 쪽이었는데 짚어주신 점으로,
1. Options > Preferences > Grid Display에서 Grid style은 기호에 따라 dots나 lines를 고르되 snap to grid 설정을 체크할 것.
설정이 꺼져있으면 화면의 칸 단위로 설계도가 그려지는 것이 아니라서 설계도를 그리다가 많이 어그러질 수 있다고 하셨다.
2. Options > Design Template > Page Size에서 m 혹은 inch 단위를 고르고 설계도 크기를 조절할 것.
이번 실습에선 A4 크기에 m 단위로 진행했다.
----
도면의 형태로는 단일도면Only one page, 평면도면Flat Design, 계층구조 도면Hierarchical Design이 있는데,
아주 복잡한 도면을 조금 더 간단하게 볼 수 있도록 만든 것이 계층도면이라고 한다. 평면도면은 여러 page에 걸쳐 도면이 나뉜 만큼 각각의 도면 사이에서 연결된 지점이 관리돼야 하는데, 이는 Off-Page Connecter를 통하여 이루어진다.
Library를 불러와서 그려본 설계도는 다음과 같다.
특별히 어렵거나 복잡한 부분은 없었고 library에서 적절한 place part를 불러와서 배치하면 됐다.
몇 가지의 단축키와 버스만 조금 주의하면 됐다.
줌인 i, 줌아웃 o, 이전 행위 반복 f4, rotate의 r과 더불어 h, v 정도가 있었다.
대각선으로 꺾인 선은 shift를 통해 그을 수 있었다.
마지막으로, 버스는 직각이 아닌 꺾인 선으로 방향을 틀어야 하고 그 꼭짓점에는 다른 와이어가 지나가서는 안 된다는 점,
버스와 와이어의 연결은 버스엔트리bus entry가 해주어야 하고, 직접적인 연결은 DRC(Design Rule check) 진행 시 지적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.